세종대학교 회화과 연혁
1940년
‘경성인문학원’ 설립(5월. 3년제, 성동구 광희동)
1946년
성동구 신당동 290-56 소재 ‘성동병원’에서 대학설립 이사회 개최(5월)
1947년
‘서울여자학원’ 설립(05월 03일).
1948년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로 개편
1954년
수도여자사범대학 설립인가 획득(국어국문, 가정학, 미술과 각각 100명).
1955년
미술과 최초 모집. 수도여자사범대학 1회 졸업생 배출.
미술과 2년제 시기(6년간)
1956년
미술과 최초 1회 입학(2년제. 동서양화), 사임당 기공.
1957년
미술과 최초 1회 졸업전시
1958년
미술과 최초 1회 졸업자 배출.
1959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개교.
군자관, 애지헌 준공.
1961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유치원 개원.
4년제 사범대학으로 승격(04. 29)
미술과 4년제 시기(17년간_수도사대)
1962년
미술과 4년제 개설.
4년제 최초 입학.
2학년에서 동서양화 분리.
61년 입학자 졸업전시.
집현관 준공으로 대학 기구 군자 캠퍼스로 이전.
1963년
61년 2년제 입학자 마지막 졸업식. 수도여자사범대학 부속 초동학교 개교.
1964년
62년 4년제 개편으로 졸업자 없음.
1965년
미술과 4년제 1회 졸업자 1명(서정순)
1966년
미술과 4년제 2회 졸업(1962년 입학).
미술과 석사과정 개설.
1968년
사임당 건물 준공. 미술과 석사 3명 배출.
1969년
세종화랑 준공. 미술과에서 회화과로 명칭 변경.
1970년
제1회 군자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0. 10. 05 ~ 10. 12 삼보화랑.
군자회가 삼보화랑에서 창립 전시 개최. 63학번 정명자 동문을 중심으로 발의.
1971년
제2회 군자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1. 10. 18 ~ 10. 23.
1972년
제3회 군자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2. 10. 28 ~ 11. 03. 신문회관 화랑
후원 : 수도여자사범대학 및 동창회
1973년
수도박물관 준공 개관(05. 05). 미술과에서 명칭 변경 후 ‘회화과’ 1회 졸업생 배출.
제4회 군자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3. 10. 15 ~ 10. 21. 신문회관 화랑
후원 : 수도여자사범대학 및 동창회
1974년
제5회 군자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4. 10. 27 ~ 11. 02. 미술회관.
1975년
제6회 군자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5. 08. 30 ~ 09. 0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
1976년
제7회 군자회화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명예회장-최옥자). 1976. 09. 08 ~ 09. 14, 미술회관.
후원 : 수도여자사범대학 및 동창회.
1977년
제8회 군자회화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명예회장-최옥자). 1977. 04. 13 ~ 04. 19, 미술회관.
후원 : 수도여자사범대학 및 동창회.
1978년
남녀공학 ‘세종대학’으로 변경(5월).
제9회 군자회화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8. 06. 22 ~ 06. 27. 미도파화랑(4층)
세종대학교 남녀공학으로 변경
1979년
수도여사대 1975학번 졸업.
남녀 공학체제로 전환 후 최초의 입학.
1976학번(수도여사대) 졸업전시.
제10회 군자회화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79. 10. 06 ~ 10. 12. 덕수미술관
1980년
수도여사대 출신 1976학번 졸업.
제10회 군자회화전(수도여자사범대학동창전), 1980. 06. 06 ~ 10. 11. 미술회관.
1981년
수도여사대 마지막 학번(1978) 졸업전시.
대양홀 준공.
교강사-이철주, 심경자, 김창락, 김형구, 하동균, 심재영, 서예 서희환
1982년
수도여사대 마지막 학번(1978) 졸업.
세종대 입학자(1979학번) 첫 졸업전시.
군자관 준공.
1983년
세종대 변경 후 입학자 최초 졸업(1979학번).
세종대 1983학년도 회화과 졸업작품전. 1983. 11. 15 ~ 11. 21. 세종대학 세종화랑.
학과장 – 이철주 / 지도교수 - 김창락, 김형구, 서희환, 심경자, 이철주, 오용길, 하동균
제14회 군자회화전. 1983. 09. 08 ~ 09. 14. 동덕미술관.
군자회 회장 : 황정자
1984년
1984년도 세종대학 회화과 졸업작품전, 1984. 11. 20 ~ 11. 25. 세종대학 세종화랑
교강사 - 심경자, 이철주, 김창락, 김형구, 하동균, 심재영, 문범, 서희환,
1985년
학생회장 – 임동범(84), 임갑제(82)?
1986년
1986년 세종대학 회화과 졸업작품전. 1986. 06. 10 ~ 06. 15일. 세종대학 세종화랑.
학과장 – 이철주 / 지도교수 - 김창락, 이철주, 심경자, 하동균, 서희환, 김형구, 심재영, 윤덕한, 노등자, 황유경, 김중학,
심문섭, 김종학, 문범,
1987년
학생회장 - 신영진(81)
종합대학으로 승격.
1987년 세종대학 회화과 졸업작품전. 1987. 06. 08 ~ 06. 13일. 세종대학 세종화랑.
지도교수 - 김창락, 이철주, 심경자, 하동균, 서희환, 김형구, 심재영, 윤덕한, 노등자, 황유경, 김중학, 심문섭, 김종학, 문범, 조교-이은미, 과대표 송용민 외
1988년
1988학년도 세종대학교 회화과졸업작품전, 1988. 11. 08 ~ 11. 14. 교내 세종화랑.
예대학장 – 김창락
학과장 – 심경자
지도교수 - 김창락, 김형구, 하동균, 김종학, 한국화 - 심경자, 서희환, 정승섭, 심재영
학생회장 - 이충하(86)
1989년
학생회장 - 최달중(86)
1990년
학내 집회로 회화과 집단 유급사태 발생.
90년 세종대학 회화과 졸업작품전. 1990. 1. 12 ~ 1. 18일. 동덕미술관.
학과장 – 심경자
지도교수 - 곽정명, 김호걸, 박광열, 심경자, 안호균, 이영욱, 조용각, 하동균, 김경인, 노등자, 배병훈, 심문섭, 윤덕한, 이윤신, 조환, 홍용선, 김서봉, 문범, 서희환, 심재영, 이강소, 이재언, 진기영,
학생회장-김경호(88)
1991년
제1회 New Image 전 – 박찬숙, 전경순(이대 졸), 정영진 작품전.
학생회장 - 장동현(86)
1992년
92년 세종대 회화과 졸업작품전. 1992. 11. 02 ~ 11. 08. 교내 세종화랑.
학과장 – 홍용선
지도교수 - 하동균, 서희환, 윤덕한, 심재영, 노등자, 곽정명, 진기영, 안호균, 김춘수, 박광열, 이영욱, 최공호,
제2회 New Image 전 - 박찬숙, 전경순(이대 졸), 정영진 작품전. 1992. 12. 16 ~ 12. 22, 관훈갤러리.
기획제작 - 최달중
학생회장 – 홍덕표(87)
1993년
학생회장 - 임호식(88)
1994년
학생회장-박용의(89)
1995년
회화과, 산업미술과를 회화·산업디자인 학부 회화전공, 산업디자인 전공으로 개편.
이당관 철거. 진관홀 기공.
1995년 02월 22일 세종대학교 회화과 동문회 발족(초기동문회장 황정자 추대)
학생회장 - 박정묵(93)
1996년
학생회장-이운갑(92)
진관홀 준공. 예체능대학 화화·산업디자인 학부를 예체능대학 조형학부로 변경.
세종화랑 철거 후 애지헌 준공.
1997년
제1회 세구작 창립전. 1997. 06. 03 ~ 06. 08. 롯데화랑 잠실점.
참여작가 - 권병호, 김경호, 김선우, 김준영, 윤세원, 이민종, 이영민, 이우림, 정도용, 정수연, 정영진, 정태영, 최수현
학생회장 - 신은섭(92)
07월 04일 제1회 세종미술제 개최 (예술의 전당)
1998년
제10회 세림전. 1998. 12. 09 ~ 12. 15. 관훈갤러리(신관 2층).
참여작가 - 강경선, 고복진, 권미금, 김세정, 김윤희, 엄명선, 오승연, 이소라, 이의후, 이준한, 이희선, 임동범, 최소영.
학생회장 - 김웅섭(93)
4월 19일 세종대학교 발전기금 마련 소품전 (롯데화랑) 및 정기총회
1999년
제3회 세구작. 1999. 06. 25 ~ 07. 01. 롯데화랑 본점.
학생회장-김옥재(94)
04월 01일 회화과 동문회 제3대 동문회장 서양순 추대 (세종호텔)
2000년
대학원 세종관 1층으로 이동. 한국화는 이당관으로 이동.
제4회 세구작전. 2000. 06. 23 ~ 06. 29. 롯데화랑 본점.
참여작가 - 고영인, 권병호, 김선주, 김선우, 김준영, 박용의, 신영진, 안양수, 이민종, 이상현, 이영민, 이운갑, 정덕원, 정도용,
정영진, 정태영,
학생회장 - 박준상(95)
2001년
2월 회화과 동문회 제4대 동문회장 김숙일 추대
학생회장 - 차지선(99)
2002년
광개토관 착공(07월 02일).
학생회장 - 이도연(99)
2003년
이당관에서 진관홀로 이전.
2월 회화과 동문회 제5대 동문회장 박순 추대
학생회장 - 이은주(01)
2004년
학생회장 - 이성훈(99)
2005년
광개토관 지하 1층에 세종갤러리 개관(370평).
학생회장 - 김현승(99)
02월 15일 회화과 동문회 제6대 동문회장 김낙일 추대
06월 07일 세종대학교 회화과 동문소식지「Sejong Fine Art.com」 창간호 발행.
2006년
학생회장 - 김하나(04)
2007년
학생회장 - 허용성(01)
심경자 교수 2학기부터 예체능대학장 임명.
1월 세종대 회화과 동문회 정기총회 (세종호텔, 제7대 정태영 회장 추대)
2008년
학생회장 - 고 주성민(03)
담장 허물기 프로젝트 시행(2008년 10월 06일 ~ 2010년 02월 28일).
2009년
심경자 교수 정년퇴임(8월)과 세종대 발전 기금 1억원 기부.
한국화 정재호 교수 취임.
정길수 초빙교수 임용.
김종학 교수 예술대학장 취임.
10대 박우희 총장 취임(7월 20일).
학과 평가 시작.
2월 회화과 동문회 제8대 동문회장 정태영 연임.
학생회장 - 김유라(07)
2010년
학생회장 - 이근우(04)
2011년
학생회장 - 정덕현(09)
졸업작품전-날것(47명 참여. 세종대 광개토관 B1 갤러리. 1부-11. 15-11. 20, 2부-11. 22-11. 27).
졸업준비위원회(이설아, 나미나, 김유미, 이가영, 이혜지, 김지향, 최재령, 구슬아, 조정은, 이보람 / 표지포스터 디자인 이가영,
제작 아트플러스.)
교강사 - 박항률, 김종학, 이강화, 안호균, 정재호, 김동우,
04월 08일 주영하 설립자 별세.
2012년
졸업작품전-PARTY(55명 참여, 세종대 광개토관 B1 갤러리. 1부-11. 6-11. 12, 2부-11. 14-11. 20).
졸업준비위원회(이은별, 홍연주, 김민희, 김혜숙, 박성원, 변예술, 신혜선, 오윤지, 윤수정, 이지연, 정덕현, 지예술, 최다혜
/ 표지포스터 디자인(최다혜), 편집(이은별, 김혜숙, 제작 호두)
교강사 - 박항률, 김종학, 이강화, 안호균, 정재호, 김동우, / 조교-홍연주
학생회장 - 성현우(07)
신구 교수 총장 취임.
김옥순(56), 유덕희(63), 박덕기(73) 동문 영면.
11월 13일 제1회 군자상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2013년
졸업작품전 - 전야(39명 참여, 세종대 광개토관 B1 갤러리. 1부-10. 23-10. 29, 2부-10. 30-11. 5).
졸업준비위원회(변은지, 송송이, 심선예, 양설희, 양지연, 이가원, 장소연, 정지윤/제작 아트플러스.)
교강사 - 박항률, 김종학, 이강화, 안호균, 정재호, 김동우, / 조교-김혜숙,
학생회장 - 최승욱(08)
여름 방학 후 광개토관의 전시장의 절반을 평생교육원의 실습무용의 연습장과 사무실, 샤워실 등으로 개조.
2014년
학생회장 - 최한솔(11)
졸업작품전 - <습>(49명 참여, 세종대 광개토관 B1 갤러리. 1부-11. 25-12. 1, 2부-12. 3-12. 10).
졸업준비위원회(이준영, 최누리, 정현준, 고서윤, 지소명, 김하운, 이선정, 신현정, 오다솜 / 제작 디자인쏠트)
교강사 - 박항률, 김종학, 이강화, 안호균, 정재호, 김동우, / 조교-김혜숙, 최재령
동문: 02월 26일 정기총회 제10대 회장 최수현 추대
2015년
2학기 박항률(1950-) 교수 정년퇴임. 김동우(1950-) 교수 정년퇴임.
2015년 4월 15일 세종회화제 (군자·세종 통합전) ‘화합과 소통의 미학’
2016년
12월 12일 세종대학교 회화과 동문회 Archive 홈페이지 구축
도움을 주신 주성열(81)교수님 감사합니다.
정리한다고는 했는데......수정 부분이나 첨부할 내용 있으시면 글 남겨주세요!